본문 바로가기
반려동물 정보

유기견과 반려자의 책임

by 리뷰하는 요리사 2023. 3. 3.
반응형

한국의 유기견들의 상황은 매우 심각합니다. 한국동물복지협회에 따르면, 한국에는 매년 약 30만 마리의 유기견이 있다고 합니다. 유기견 중 많은 수가 결국 동물 보호소에 가게 되지만, 불행히도, 그들의 대다수는 공간과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안락사됩니다.

한국에서 유기견의 수가 많은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애완동물 소유에 대한 책임감 없는 태도입니다. 일부 사람들은 개를 사랑, 관심, 보살핌을 필요로 하는 생명체라기보다는 일회용 물체 또는 외로움을 채워주는 용도로 봅니다. 그 일부의 사람들은 애완동물 소유와 함께 오는 장기적인 약속을 고려하지 않고 개를 구입하거나 입양합니다.
한국에서 유기견의 수가 많은 또 다른 요인은 강아지를 상업적으로 이용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업적 사육 시설은 동물 복지보다 이익을 우선시하며, 종종 개들을 비좁고 비위생적인 환경에 처하게 합니다. 이러한 곳에서 생산되는 많은 개는 애완동물 가게나 온라인 마켓에 가게 되고, 그곳에서 개 소유에 대한 책임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사람들에 의해 종종 충동적으로 구매됩니다.

게다가, 한국에는 잡종견에 대한 문화적인 오명이 있는데, 이것은 종종 이러한 개들이 순종견들보다 더 많은 숫자로 버려집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의 동물 복지 단체들은 책임감 있는 애완동물 소유에 대한 교육을 늘리고, 애완동물 가게나 온라인 마켓에서 구매하는 것보다 유기견 입양을 장려하고, 저렴한 비용의 가게와 중성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그리고 동물 보호소는 더 많은 개를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늘리고 공간 부족으로 인해 안락사되는 개들의 수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한국의 유기견들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동물복지협회뿐만 아니라 우리에게도 아직 해야 할 일들이 많습니다.
 
모든 동물에게는 감정이 존재합니다. 우리 삶에 가까운 강아지에게는 보통 8~12년 정도 수명이 부여됩니다. 처음부터 강아지가 세상을 떠나는 순간까지 우리가 늙어가듯 강아지는 더 빠른 변화가 올 것입니다. 우울증, 치매, 신체적인 노화를 포함해서 말입니다. 
 
단지 우리들의 외로움으로 강아지에게 그 외로움을 넘겨주지 마세요. 우리에게는 사회적 지인들과 가족들이 존재하나 강아지가 바라볼 수 있는 것은 반려자님 하나입니다. 아이가 있는 가정에서 강아지를 키우는 것은 부모가 아이뿐만 아니라 강아지에게도 사랑을 같이 나눌 때 아이에게 도움이 됩니다. 자신의 시간을 강아지를 위한 산책과 정기적인 밥을 제공하고 강아지의 배변을 해결할 기본적인 책임을 질 자신이 없다면 공원에 나가 산책하면서 다른 강아지를 만져보기도 하고 이뻐해 주는 것만으로 만족하세요.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
 
사진: UnsplashJametlene Reskp

반응형

댓글